2023.11.27 (월)

  • 흐림동두천 5.1℃
  • 구름조금강릉 11.7℃
  • 서울 5.9℃
  • 대전 7.0℃
  • 대구 9.8℃
  • 구름많음울산 14.3℃
  • 흐림광주 9.4℃
  • 구름많음부산 14.5℃
  • 구름많음고창 11.6℃
  • 흐림제주 15.6℃
  • 흐림강화 7.0℃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7.0℃
  • -강진군 11.8℃
  • 구름많음경주시 14.5℃
  • 구름많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문화

CJ제일제당, 차세대 한식 셰프 찾는다…“레스토랑 운영 기회 제공”

 

 

(뉴스타임24) CJ제일제당은 '퀴진케이(Cuisine. K)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할 참가자를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선발된 셰프는 최대 3개월 간 퀴진케이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하며 한식 오너 셰프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된다. 주방과 홀은 물론 식기까지 완벽하게 갖춘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받으며, 수익금도 100% 지급받는다. 교육 컨설팅, SNS 마케팅 지원 등의 혜택도 있다. 

 

지난 8월 문을 연 '퀴진케이 팝업 레스토랑'은 셰프들이 한식을 주제로 다양한 메뉴를 개발하고 소비자에게 선보일 수 있는 공간이다. 서울 강남에 위치한 CJ제일제당의 혁신허브 '이노플레이(INNO Play)' 1층에 위치하며, 유망 한식 셰프 육성의 플랫폼 역할을 맡았다. 

 

'퀴진케이 팝업 레스토랑' 참가자 모집은 오는 26일까지 진행하며, 홈페이지(https://cuisinekproject.com/kr)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1차 서류 평가 진행 후, 2차 메뉴시연평가를 통해 최종 팀을 선정하게 된다. 한식 메뉴에 대한 상품성과 구현 가능성, 그리고 오너 셰프로서의 책임감, 성실함 등을 중점적으로 심사할 예정이다. 

 

앞서 미쉐린 스타 셰프인 조셉 리저우드가 '퀴진케이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하며 길잡이 역할을 했고, 뒤이어 이경원 셰프, 신용준 셰프, 신용우 셰프 등 최근 주목받는 젊은 셰프들이 '레스토랑 이신', '레스토랑 Belong'등의 이름으로 팝업을 운영한 바 있다. 

 

9월부터 한 달간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했던 신용준 셰프는 '처음 레스토랑을 열게 되면 자금부터 마케팅까지 요리 외적인 운영 부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프로그램 덕분에 한식에 집중하며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팝업 레스토랑을 찾았던 고객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예약 플랫폼 고객 리뷰 중에는 '제철 재료를 활용하고 한식을 재해석한 다이닝이 인상깊었다', '열정 넘치는 젊은 셰프들의 도전을 응원한다' 등의 내용이 많았다. 

 

한식진흥원에 따르면, 한식음식점을 창업하는데 약 7개월이 걸리고, 자금은 1억여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CJ 제일제당은 창업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젊은 셰프들이 실전경험을 바탕으로 한식 요리에 자유롭게 도전해 한식의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한식 오너 셰프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한식을 세계적 미식의 영역으로 끌어올릴 인재 육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상공인

더보기
다채로운 먹거리와 깨끗한 시설로 고객들을 반기는 인천 남동구 구월시장
정겨운 사람 냄새로 가득한 구월시장은 어느 새 4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인천 남동구의 대표적인 명물이 되었다. 1982년, 골목시장으로 작게 출발했지만 지금은 그 어떤 시장보다 다채로운 품목을 자랑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20년 전부터 이 시장에 자리를 잡았던 박용준 회장은 구월시장이 긴 역사만큼이나 발전해 가는 시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만큼 시장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하다. “현재 140여 개의 점포가 있으며, 어느 시장보다도 취급하는 품목이 많습니다. 상인들의 정성과 다양한 먹거리 때문에 마트로 가던 사람들도 구월시장을 찾고 있습니다.” 시설 개선의 핵심은 위생과 청결이다 취임한 이후로 구월시장의 발전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박 회장은 깨끗한 시장을 만드는 것을 시장 개선 사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음식의 수준이 위생 및 청결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는 만큼, 먹거리를 주로 다루는 시장 또한 위생과 청결로 평가됨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품목의 다양성이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게 만든 동력이지만 이보다 더 진일보한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분명 환경 정화는 이미지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판매되는 모든 먹거리의 질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