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1 (화)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9.6℃
  • 맑음서울 4.6℃
  • 맑음대전 2.3℃
  • 맑음대구 3.2℃
  • 맑음울산 6.4℃
  • 맑음광주 6.2℃
  • 맑음부산 8.6℃
  • 맑음고창 1.9℃
  • 맑음제주 9.2℃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1.1℃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2.9℃
  • 맑음경주시 1.7℃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산업

도로교통공단, 용인 장애인운전지원센터 개소 1주년

1년간 중증장애인 115명 운전면허 취득 지원


(뉴스와이어)도로교통공단 용인운전면허시험장(장장 장 광)은 10월 30일(금) 장애인운전지원센터 개소 1주년을 맞이하였다. 

용인 장애인운전지원센터는 사회적 교통약자인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과 권익보호, 편의증진을 위해 개소하여, 중증 장애인 운전면허 취득지원 시설이 부족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증 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을 도와왔다. 

용인 장애인운전지원센터는 재활전문가, 교육강사 등 전문 인력과 특수제작 장애인 전용차량을 갖추고, 중증장애인의 신체적 운동능력을 측정, PC 학과(2시간), 장내기능(4시간), 도로주행(12시간) 무상교육을 지원해 왔다. 

운전면허 취득 이후에는 도로교통 환경에 손쉽게 적응하고 교통사고 위험에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통안전교육과 각종 면허정보 등 운전면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립재활원과 협업으로 교육 강사의 전문화 교육을 통해 1~3급 중증 장애인에게 1:1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여 면허취득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용인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서는 장애로 불편하게 살아왔던 총 115명의 중증 장애인이 소망하던 운전면허증을 취득하여 제2의 인생을 꿈꾸며 살아가고 있다. 1~3급의 지체(60명), 청각(39명), 뇌 병변 등(16명) 중증장애인들이 면허를 취득하였고, 운전면허증 취득을 통해 사회적 교통 약자에서 벗어나 사회의 구성원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갈 좋은 기회가 되었다. 

중증 장애인 무료 운전교육시설은 부산·전남 장애인지원센터(‘13년 부산, ’14년 전남)와 국립재활원, 송파구청 4곳에서 경기권역 용인 센터(‘14년)와 강서 장애인지원센터(’15년) 개소로 지역 형평성과 접근성이 향상되었으며, 앞으로도 중증 장애인의 수요에 따라 운전지원센터가 확대될 계획이다. 

장광 용인운전면허시험장장은 “중증 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 활성화를 위해 더욱 전문화된 운전교육 방법을 개발할 것”이라며 “더욱 유익한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하여 교육의 질과 중증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에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도로교통공단 소개 
도로교통안전의 중심, 선진교통문화의 리더. 도로교통공단은 공정한 운전면허관리와 교통안전관련 교육·홍보·연구·방송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교통사고 감소와 예방에 노력하는 준정부기관이다.
출처: 도로교통공단

관련기사

소상공인

더보기
다채로운 먹거리와 깨끗한 시설로 고객들을 반기는 인천 남동구 구월시장
정겨운 사람 냄새로 가득한 구월시장은 어느 새 4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인천 남동구의 대표적인 명물이 되었다. 1982년, 골목시장으로 작게 출발했지만 지금은 그 어떤 시장보다 다채로운 품목을 자랑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20년 전부터 이 시장에 자리를 잡았던 박용준 회장은 구월시장이 긴 역사만큼이나 발전해 가는 시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만큼 시장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하다. “현재 140여 개의 점포가 있으며, 어느 시장보다도 취급하는 품목이 많습니다. 상인들의 정성과 다양한 먹거리 때문에 마트로 가던 사람들도 구월시장을 찾고 있습니다.” 시설 개선의 핵심은 위생과 청결이다 취임한 이후로 구월시장의 발전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박 회장은 깨끗한 시장을 만드는 것을 시장 개선 사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음식의 수준이 위생 및 청결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는 만큼, 먹거리를 주로 다루는 시장 또한 위생과 청결로 평가됨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품목의 다양성이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게 만든 동력이지만 이보다 더 진일보한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분명 환경 정화는 이미지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판매되는 모든 먹거리의 질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